
리디에서 Kafka를 사용하는 법
코드너리 | 2023. 01. 30
데이터 파이프라인
사용된 기술:


요약:
- 감상 데이터 서비스는 이 토픽에 콘텐츠 감상 메시지를 게시하고, 실시간 랭킹 서비스는 해당 토픽을 구독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.
- 이를 통해서 도서 감상 서비스는 응답속도 향상과 더불어 실시간 랭킹 서비스에 대한 의존성을 없애, 더 높은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었습니다. 실시간 랭킹 서비스 입장에서는 과거 API 호출 시 개별 처리되던 데이터를 여러 개 묶어서 처리할 수 있게 되어 더욱 높은 효율성을 확보했습니다.
- 또한 콘텐츠 감상에 대한 토픽을 확보하게 되어 실시간 랭킹 서비스 외의 다른 서비스에서도 기존 시스템에 영향을 주지 않고 감상 이벤트를 활용할 수 있는 확장성을 확보하였습니다.
- 이미 눈치채신 분도 계시겠지만, 이렇게 Kafka를 이벤트 버스로 활용하기 시작하면서 지금 제가 근무하고 있는 R-Bus (RIDI Event Bus) 팀이 출범하게 되었습니다. 그리고 감상 이벤트 외에도 고객의 행동 로그, 내부 콘텐츠 상태변화 등 다양한 이벤트를 Kafka 를 통해 처리하고 있습니다.